요한복음 16장 20절 “근심이 기쁨으로” 2021년 9월 9일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는 곡하고 애통하겠으나 세상은 기뻐하리라 너희는 근심하겠으나 너희 근심이 도리어 기쁨이 되리라”

근심 없이 살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갖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근심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그냥 잊고 살자고 다짐을 해보지만 뜻대로 되지를 않습니다. 근심한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음을 잘 알지만 감정은 근심으로 인해 심하게 흔들립니다. 우리가 이것을 끊어내려 하지만 더 강력히 달라붙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들도 이 근심에 사로잡히는 경험을 했습니다. 예수님이 그들 곁을 떠날 것이란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들과 함께 더 이상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여러 번에 걸쳐 강조하시자 그들의 근심은 더욱 커져만 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예수님은 “너희는 곡하고 애통하겠으나”와 “너희는 근심하겠으나”란 말을 거듭 언급하셨습니다. 곡하고 애통하는 모습은 마치 사랑하는 부모와 자식을 잃은 자를 연상케 하는 가슴아픈 장면입니다. 그것도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가장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을 잃는다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더욱 아프게 합니다. 제자들이 겪게 될 근심의 강도가 이 정도로 엄청날 것임을 예수님이 예고하신 것입니다. 더욱 더 그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것은 세상이 그들의 슬픔을 보면서 기뻐할 것이란 점입니다. 그들은 슬픔과 근심으로 마음이 미어질 정도로 고통을 느끼겠지만 세상은 오히려 잔치를 베풀 정도로 기뻐할 것을 보게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예수님이 로마 군인에 의해서 붙잡히고 온갖 모욕과 수치를 당할 뿐만 아니라 채찍을 맞아 온 몸이 찢겨지고 십자가에 매달려 비참하게 죽임을 당하실 때에 제자들은 곡하고 애통하지만 세상은 기뻐하게 될 것입니다. 이를 두고 “너희는 곡하고 애통하겠으나 세상은 기뻐하리라”고 하신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아직 일어나지 않았기에 제자들은 근심하는 정도의 반응을 하고 있을 뿐입니다. 그럼에도 예수님은 그들의 근심을 치유하시기 위해 “너희는 근심하겠으나 너희 근심이 도리어 기쁨이 되리라”는 반전 가득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근심이 기쁨이 된다니 이보다 더 큰 반전이 어디에 있을까요? 제자들 스스로 근심을 기쁨으로 바꾸라고 하신 말이 아닙니다. 그들 스스로 이 일을 해낼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제자들은 근심에 휩싸일 것이지만 기쁨이 찾아와 그것을 몰아낼 것을 약속하신 것입니다. 기쁨이 선물처럼 찾아온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기쁨이 선물처럼 찾아와 그들의 삶을 채울까요? 성령이 그 일을 하실 것입니다. 성령에 의한 기쁨을 제자들이 만끽할 것입니다. 바울은 성령의 열매를 언급하면서 사랑 다음에 ‘희락’을 말했습니다. 희락은 기쁨을 뜻하는 것으로 성령의 주된 사역임을 말해줍니다. 따라서 바울은 “우리가 환난 중에도 즐거워하나니”(롬5:3)라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환난은 우리에게 근심을 줍니다. 삶이 고통스러운데 어찌 근심하지 않을 수가 있을까요? 하지만 우리는 근심을 이겨내고 환난 속에서도 즐거움을 되찾을 수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바울이 그리던 그리스도인의 차원 높은 삶의 모습입니다.

지금 여기서 여러 가지 이유로 근심하며 슬퍼하고 애통할 수가 있습니다. 예수님을 믿지만 삶의 고통이 사라지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세상은 이런 우리를 비웃으며 박수를 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것에 굴하지 않고 주님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주님이 약속하신 ‘너희 근심이 도리어 기쁨이 되리라’는 말씀이 우리 삶에서 이루어질 것을 소망해야 합니다. 어떤 식으로 근심을 기쁨으로 바꾸실지 우리는 기대해야 합니다. 모든 이에게 동일한 방식으로 기쁨을 주는 일은 없습니다. 각자의 삶의 상황과 처지에 맞게 기쁨을 주실 것입니다. 맞춤형 기쁨을 우리가 살면서 누릴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제자들에게 약속하신 ‘근심이 도리어 기쁨이 된다’는 것이 우리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믿음으로 받아들이는 일입니다. 어떤 일로 인해 근심하더라도 다시 기쁨을 되찾을 것을 믿을 수 있어야 합니다. 예수님의 약속을 믿고 따른다면 우리는 어떤 근심이라도 기쁨으로 바뀌는 것을 경험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