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행 신앙

제가 오래 전에 한 번 운전하다 역주행을 한 적이 있습니다. 처음 가본 길인데 약간 헷갈렸습니다. 무심코 좌회전을 하면서 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저 멀리서 차가 오고 있는 것입니다. 순간 역주행했다는 것을 알고 나서 급하게 핸들을 꺾고 그 길을 벗어났습니다. 얼마나 놀랐던지 지금 생각해도 등골이 오싹할 정도입니다. 한 편으로는 길도 몰라 역주행한 것에 대한 부끄러움도 있습니다. 도로에서 역주행하는 것은 대형사고의 지름길입니다.

인생에서 역주행은 과연 어떨까요? 물 흐르듯이 시류를 따라 사는 것은 지혜로운 삶의 방식일 것입니다. 예를들어, 회사에 들어가 회사 규칙을 따라 일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입니다. 학생은 학교 규칙을 따라 생활해야 합니다. 법을 지키면서 사는 것은 시민 정신의 첫 번째 원칙입니다. 일상적인 삶에서 역주행하는 것은 그리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인생에서 역주행하는 것은 위험한 일입니다. 자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까지도 힘들게 할 수 있는 좋지 못한 형태가 역주행하는 삶입니다.

그러나 사회는 역주행하는 사람을 필요로 할 때가 있습니다. 불공평하고 불의하고 죄악이 만연한 사회일 경우에는 역주행하는 시민들의 움직임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우리 나라의 경우, 군사독재 시절을 겪을 때, 수많은 지식인들, 대학생들이 역주행을 시도했습니다. 그 당시 사회와 법의 잣대로 보면, 역주행한 사람들은 다 죄인들입니다. 국가에 반역하는 죄인들입니다. 그러나 감옥에 갇히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사회를 거역하는 역주행을 시도했습니다. 역사는 이들을 민주 시민이라 칭합니다. 그러나 그 당시의 사회에서는 골칫거리로 여겨졌습니다. 역주행하는 사람들은 사회에서 물의를 일으키고 여러 가지 골치 아픈 일들을 만들어 낼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이 있기에 사회는 좀 더 나은 방향으로 가고 있습니다. 그들의 희생이 있기에 그 뒤에 오는 세대가 좀 더 자유를 누리게 됩니다.

그럼 신앙은 어떨까요? 역주행하는 신앙이란 무엇일까요? 신앙인이 사회에서 역주행하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요? 바울은 로마서 12장 2절에서,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라’는 중요한 권면을 했습니다. 저는 이것이 바로 역주행 신앙이라 봅니다. 이 세대를 본받지 않는 삶이 바로 역주행 신앙입니다. 이 세대란 각 신자가 살고 있는 사회 전반을 가리킵니다. 각 세대마다 가치관이 있습니다. 각 사회가 가르치는 세계관이 있습니다. 모든 신자는 자기가 속한 사회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그 사회가 추구하는 가치관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그런데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라’고 합니다. 이 얼마나 놀라운 권면입니까? 또한 각 신자에게 이보다 더 큰 고민을 안져주는 말씀도 없을 것입니다. 우리가 속한 사회의 가치관을 본받지 말라는 것은 신자의 삶을 위태롭게 할 지도 모릅니다. ‘사서 고생을 한다’는 말이 있듯이 시류를 따라 살면 편할 것을 세대를 본받지 않고 역주행하는 신앙 생활을 해야 한다니 가슴에 무거운 돌을 얹은 기분입니다. 그럼에도 신자로서 우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라는 말씀을 외면할 수가 없습니다. 역주행을 해야 하는 신앙 생활이 우리를 기다릴 수 있습니다. 물론 매일 역주행하라는 의미는 결코 아닙니다. 역주행할 수 밖에 없는 삶이 우리를 찾아올 지 모른다는 뜻입니다. 과연 당신은 역주행 신앙을 경험해 본적이 있습니까? 혹시 지금 역주행 신앙의 초대장을 받아들고 있지는 않습니까?